공부 학문

[스크랩] 작물의 재배기술

연꽃나라 2010. 9. 27. 11:40

○ 기지현상 : 연작시 생육이 나빠지는 것  

   ․해가 적은 것 : 벼, 맥류, 조, 수수, 옥수수, 고구마, 삼, 담배, 무, 당근, 양파, 호박, 순무, 뽕나무, 아스파라거스, 토당귀, 미나리, 딸기, 양배추, 꽃양배추  

   ․10년이상 휴작 요하는 것 : 아마, 인삼      ․문제가 안 되는 것 : 사과,포도,자두,살구  

   ․문제가 되는 것 : 복숭아나무, 무화과나무, 감귤류, 앵두나무 등(수박,완두,감자,콩,고추,토마토)  

   ․원인 : 토양비료소모, 토양중의 염류집적, 토양물리성의 악화, 잡초번성, 유독물질 축적, 토양선충의 피해, 토양 전염의 병해  

   ․대책 : 윤작, 담수, 토양소독, 유독물질의 유리, 객토 및 환토,  접목, 지력배양.

○ 윤작(돌려짓기) 

   ․3포식 농법,   ․개량3포식농법(휴한 대신 지력증진 작물재배),  

   ․노포크식윤작법 : 화본과의 식용작물과 두과인 클로버, 근채류인 순무가 조합된 윤작.  (무→보리→클로버→밀,  밀→콩→보리→순무)  

   .효과 : 지력유지 증강, 토양보호, 기지 회피, 병충해 경감, 잡초 경감, 수량증대, 토지이용도 향상, 노력분배 합리화, 농업경영의 안정성증대.

○ 답전윤환 : 논을 몇 해 동안씩 담수한 논상태와 배수한 밭 상태로 돌려가면서 이용(최적연수:2~3년)  

           ․효과 : 지력 유지증진, 기지 회피, 잡초발생 억제, 수량증가, 노력 절감

○ 혼파   ․단점 : 작물과 토양의 정밀한 관리가 어렵다, 기계화 곤란.  

               ․이점 : 가축영양상의 이점, 공간의 효율적이용, 비료성분의 효율적 이용, 질소비의 절약, 잡초 경감,

                          재해에 대한 안정성 증대, 산초량의 평준화, 건초제조상의 잇점.

○ 간작(사이짓기) : 노력에 비해 토지가 적을 경우, 제한된 일정면적의 토지에서 소출을 증대 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 혼작(섞어짓기)

○ 교호작(엇갈아짓기) : 생육기간이 비등한 작물들을 서로 건너서 교호로 재배하는 방식.

○ 육묘 : 묘상과 배지의 종류, 加溫과 이식의 유무에 따라 방식 달라진다.  

   ․가온육묘 : 가온과 함께 낮에는 태양열, 밤-보온  

  양액육묘 : 노력절감, 병충해 위험 경감, 생력 육묘.  

   ․접목육묘 : 토양전염병 예방, 양수분의 흡수력 증대, 저온신장성 강화, 이식성 향상 시키기 위해

   ․목적 : 과채류의 조기수확, 결구성 채소의 추대방지, 유묘기의 관리용이,  토지이용율 제고와 종자 절약.  

   ․필요성 : 직파가 불리할 경우, 증수, 조기수확, 토지이용도의 증대, 재해방지, 노력절감, 추대방지, 종자절약.

○ 전후작(前後作)

○ 채소 온상관리 : 야랭육묘, 관수는 횟수를 줄이고, 한번에 주는 분량을 늘리며, 가식은 최소환도에 그쳐야 하며 추비는 거의 안준다.

○ 가을 파종 : 팬지, 금잔화, 금어초, 데이지, 시네라리아         봄 파종 : 맨드라미, 메리골드, 백일홍  

     催芽후 파종 : 땅콩, 벼,맥류,가지(종자의 싹을 틔워 파종)      상파 : 고가종자, 집약적인 관리 필요한 파종법

○ 발아최저온도 가장 낮은 것 : 조,보리, 밀- 0~2℃ ]

○ 종자 발아 최적온도 : 20~30℃

○ 침종목적 : 발아억제 물질 제거, 종자의 수분흡수, 발아 균일 및 촉진.

미세종자 : 관수법 - 저면관수,   파종법 - 모래와 섞은 후 체로 쳐서 파종, 파종후 저면 관수

○ 10cm이상 복토 : 튤립, 수선호, 히아신스

○ 정지(整地) : 경기(대강 부스려뜨리기;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개선, 잡초의 경감, 해충의 경감), 추경, 심경,    *정지(整枝) : 가지 변형

○ 파종량 결정시 고려할 사항 : 작물의 종류 및 품종, 종자의 크기, 파종기, 재배지역, 재배법, 토양 및 시비, 종자의 조건.

○ 상토 수분 부족시 : 종피를 벗지 못하고 쓰고 나온게 된다.

○ 비료 5요소 :  N, P, K, Ca, 유기질

○ 액체비료 : 제 4종 복합비료

○ 질소비료   ․질산태 : 초안, 칠레초석   ․암모늄태 : 유안(물에 잘 녹고 속효성, 유실이 적다)   ․시안아미드태 : 석회질소   ․유기태 : 요소

○ 3요소계 비료  - 질소질비료 : 황산암모니아(황안,유안), 요소, 질산암모니아(질안,초안), 석회질소  

                          - 인산질비료 : 과인산석회(과석), 중과인산석회(중과석), 용성인비, 용과린  

                          - 가리질비료 : 염화가리, 황산가리

○ 중경 : 파종 또는 이식 후 작물 생육기간에 작물사이의 토양을 부드럽게

○ 중경효과 : 토양중 산소투입, 유해가스 방출, 잡초방제, 지면증발억제

○ 배의 무대재배 : 조․중생만 가능복대(봉지씌우기)

○ 사과 봉지 벗기기 : 착색위해       ○ 지온을 낮추는 데 효과적 : 짚을 깔아준다

○ 배토 : 작물의 생육기간중에 골 사이나 포기사이의 흙을 포기 밑으로 긁어 모아주는 것.

               도복방지, 잡초제거, 신근발생 조장, 무효분얼 억제, 덩이줄기 발육조장, 배수.

○ C/N 율 = 1(생장만 좋다), >1(화아분화적당)   ․결실이 좋으려면 : 질소 비교적 소량 + 탄수화물 충분

○ 단위결과(수분수 불필요) : 감, 감귤, 바나나, 파인애플, 무화과

○ 조기낙과(June drop) :수정이 되어 어느정도 자라다가 양,수분의 과부족으로 인해 배의 발육이 중지되었을 경우

     후기낙과(Preharvest drop) : ABA 함량이 증가하고 옥신의 함량 감소 - 대책 : 질소를 줄인다. 옥신살포

○ 낙과방지 : 꽃눈을 충실하게 키운다. 수분수를 철저히 심는다. 개화기에 저온의 피해가 없도록 주의

○ 작물병 전파 경로   

    ․공기전염 - 맥류 녹병, 벼 도열병, 깨씨무늬병   수매(水媒) 전염 - 벼 잎집무늬마름병, 흰잎마름병   충매(蟲媒)전염 - 오갈병, 모자이크병

출처 : 자연. 건강. 웰빙
글쓴이 : food79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