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담수직파에 적함한 파종방법 -> 산파
작물생육의 최저, 최적, 최고온도 -> 주요온도라 함
벼의 도복 방지 재배법
-> 5절간의 신장억제, 2, 4-D 살포, 유수분화기 질소억제
식물체의 안토시아닌의 생성을 촉진하는 빛 -> 자색광
냉해에 강한 벼 -> 찰벼, 수중형, 유망종 (무망종 -틀림)
내비성이 가장 약한 벼 ->? 야생벼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작물의 일반적 분류법의 근거 -> 용도
강산성 토양에서 용해도가 증대되어 뿌리의 신장을 억제하는 성분 -> 알루미늄
혼파시 화본과 목초과 콩과 목초의 알맞은 혼합비율 -> 8-9 : 1-2
벼에서 침과수 피해가 가장 큰 시기 -> 출수 개화기
작물의 생육과정에서 화성을 유발케 하는 요인
-> C-N율, 식물호르몬, N-K율 (일장표과-X)
춘화처리의 농업적 이용으로 옳은 것 -> 채종상의 이용
논의 추경(가을갈이)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조건
-> 유기물함량이 많을 때
T/R율이 가장 많이 증대하는 것 -> 질소비료 다량시용시
환원성 유해물질 -> Fe++, Mn++, H2S (FeS 아님)
토양수분을 측정하는 방법
-> 장력계법, 전기저항법, 중성자 산란법(가압상법-X)
저온장일의 조건이 화성에 필요한 ㅅ기물에서 저온처리나 장일조건의 환경을
대신할 수 있는 것 -> 지베렐린
속효성 비료 -> 요소, 황산암모늄
목초 중 하고발생이 가장 심한 것 -> 티머시
산성토양에 대한 작물의 적응성이 가장 강한 작물
-> 벼, 귀리, 감자
조파조식으로 영양생장기간을 연장하여 증수하고자 할 때 알맞은 기상생태형
-> bLt 형
방사성 동위원소의 이용
-포지화합물로 작물이 생리연구에 이용
-영양기관의 장기저장에 이용
-돌연변이를 유발시켜 육종에 이용
(식물체내의 에너지원으로 이용 -X)
잎의 노화촉진과 눈의 휴면을 유도하는 식물호르몬 -> 아브시스산
논토양의 탈질현상을 방제하기 위하여 암모니아태 질소비료를 주는
가장 적합 한 때 -> 정지하기 전
세포분열을 촉진하며, 잎의 생장촉진, 호흡억제, 엽록소와 단백질의 분해억제
노화방지등의 효과 있는 호르몬 -> 사이토카이닌
합성옥신 -> NAA, PCPA, BNOA (BOH - 아님)
혼작의 효과가 가장 큰 작물 -> 사료작물
벼 담수 토중 직파재배에서 과산화석회를 분의하여 파종하는 이유
-> 산소공급
종자의 열사 최고온도 -> 80-90 도시
버널리제이션(춘화처리) 현상을 구명한 사람 -> 루이젠코(Lysenko)
작물의 종자갱신을 지속적으로 해야하는 이유
-> 미고정형질의 분리, 돌연변이, 자연교잡(세포의 탈분화 -틀림)
동일 식물의 줄기와 뿌리의 상하조직을 연결시키기 위한 접목법 -> 교잡
작물의 흡수압 -> 5-14기압
내풍성 작물 -> 고구마
작물체가 생장할 때 평면공간으로 상당히 퍼지는 작물에 알맞은 파종양식
-> 점파
도복의 대책-> 밀식재배를 통하여 입묘수를 늘리는 것과는 관련 없음
벼나 보리의 채종 재배시 이형주를 도태시키는데 가장 적당한 시기
-> 출수기
도시 근교에서 수익성이 높은 작물을 선택하여 집약적 관리를 하는 작부방식
-> 자유경작
잭물생육에 적당하지 않은 토양수분상태 -> 최대용수량
증산계수가 큰 작물 -> 호박, 알팔파, 클로버
휴립 휴파법을 이용하여 재배하는 작물 -> 고구마
연작 장해가 가장 적은 작물 -> 옥수수(쑥갓 - 틀림)
식물의 지리적 미분법
전세계를 통하여 농작물과 그드르이 근연식물을 수집하여 조사하였다.
주요작물의 재배기원 중심지를 8개 지역으로 나누었다.
다양성에 주목을 하였다
(Morgan이 제창 -X)
작물의 개화를 유도하기 위해서 생육의 일정한 시기에 저온 처리를 하는 것
-> 춘화처리(일장효과-틀림)
가장 낮은 농도에서 피해를 일으키는 대기오염 물질 -> HF
답전 윤환의 작부체계에서 논과 바의 기간 -> 2-3년
비료의 행동을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는 방사성동위원소
-> 32P, 42K, 45Ca
========================================================================프린트함
유수형성기부터 개화기까지 특히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에 영행을 주는 냉해
-> 장해형 냉해
식물의 상적발육에 관여하는 식물체의 색소
-> 파이토크롬
C-N : 화성유도와 영양생장관계 설명
G-D균형 : 생장과 분화와의 관계를 설명
R-T율 : 생육상태의 변동 중 지하부 생장을 주로 고찰할 때의 비율
과수재배시 우량한 꽃가루 공급을 위한 수분수의 혼식 비율
-> 20-30%
지온상승에 가장 효과가 큰 광 파장
-> 770nm
목초의 하고유인이 아닌 것 -> 단일(고온, 건조, 잡초 임)
후기생육이 조장되어 다비밀식을 해서 증수를 꾀하는 이앙 방법 -> 병목식
세포의 신장을 촉진시키며 굴광 현상을 유발하는 식물 호르본 -> 오옥신
단일성식물 -> 들깨, 담배, 코스모스
아황산가스에 대한 저항성 정도가 가장 큰 작물 -> 국화
내습성이 강한 작물의 특징
- 황화수소 등 환원성 유해물질에 대한 저항성이 큰 것이 내습성이 강하다
- 근계가 얕게 발달하거나 부정근의 발생력이 큰 것이 내습성을 강하게 한다.
- 채소류에서는 양상추, 양배추, 토마토, 가지, 오이 등이 내습성이 강하다.
식물체내에 많은 중금속을 흡수하고도 건전하게 생육하는 식물이 있어,
특정한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데 응용될 수도 있는 식물 -> 축적식물
식물생장속도(CGR)를 결정해주는 요인
-> 엽면적지수 * 순동화율
식물체의 흡수량이 적게 되면 내건성이 저하되는 원소 -> 칼륨
봄 결구배추를 직파하지 않고 육묘하여 이식하는 주된이유 -> 추대방지
작물에서 낙과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가 아닌 것 -> 환상박피 아님
(방한, 합리적인 시비, 병해충 방제)
작물의 일생을 마치는데 소요되는 총온량은 적산온도로 표시하는데 벼의 적산온도
-> 3500-4500도시
연작에 의한 해가 적은 작물 -> 무, 당근, 양파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높여서 작물의 증수를 위한 시비 방법 -> 탄산시비
수분포텐셜
- 용질의 농도가 높으면 수분포텐셜이 감소하다.
- 온도가 높아지면 수분포텐셜이 증대한다
- 수분포텐셜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물이 이동한다.
- 압력이 높아지면 수분 포텐셜이 감소 -틀림
씨 없는 수박을 만들 때 종자에 방사설 처리를 하는데 무엇을 유기하기 위한 것인가
-> 상호 전좌
당년생 가지에 결실하는 것 -> 감, 포도
연관성 있는것
내비성-내병성-내도복성
식물호르몬 중에서 가장 일찍 분리, 동정된 것 -> Auxin
동상해의 피해를 경감시키는 방법
-> 암거배수, 밟아준다, 누수답을 개량한다. (물을 담수 -틀림)
벼의 생육기간 중 냉해에 의해 출수가 가장 크게 지연되는 시기
-> 유수형성기
토양미생물 중 자급 영양 세균
-> Nitrobacter
관수재배에서 환상박피를 하는 원리 -> C-N율의 증대
시비 후 요소를 거처 (NH4)2CO3로 분해되는 과정을 거치는비료
-> 석회질소
농업상 이용되고 있는 방사선 동위원소 -> 14C, 45Ca, 24Na(15Mg)
무기성분 중 결핍 증상을 상위엽에서 주로 관찰할 수 있는 것
-> Ca, B
식물체에서 내열성이 가장 강한 곳 -> 주피
산성토양에 강한 내산성 작물
-> 감자(사탕무우, 부추, 콩 중)
단위면적당 광합성능력을 표시하는 것
-> 총엽면적 * 수광능률 * 평균동화능력
식물의 생장 과정을 생장과 분화의 두 측면으로 보는 지표 -> G-D균형
파종 후 재배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노력이 많이 요구되는 파종방법
-> 산파
벼의 시비 체계에서 수비(이삭거름)의 시용시기
-> 유수형성기
작물이 생육 최적 온도 이상에서 오래 유지될 때 나타나는 현상
- 체내에 암모니아의 축적이 많아진다.
- 엽록체의 전분이 점괴화 되어 기능이 상실된다.
- 호흡량이 증대하여 당의 함량이 줄어든다.
- 원형질막이 점괴화 되어 기능이 상실된다- X
식물 세포의 크기를 증대시키는데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
-> 팽압
버어널리제이션의 농업이용은 괄목할만 하다 에 해당
- 수량증대, 육종에 이용, 대파, 억제재배(X)
작물의 영양생리의 연구에 사용되는 방사성 동위원소-> 32P
전분 합성과 관련되는 효소 -> 포스포릴라아제
벼 종자의 온탕 처리로서 방제할 수 있는 병 -> 선충심고병
벼 재배에서 분얼 촉진을 위한 비료 양분
-> 질소(N)와 인산(P)
잡종강세 육종방법으로 가장 적당 -> 다계 교잡법
내건성이 가장 강한 것 -> 수수(옥수수, 율무, 보리 중)
식물의 거대형(giant form)은 어떤 경우에 생기는가
-> 단일성 식물을 장일하에 놓아둘 때
냉해를 입었을 때 나타나는 현상
-> 엽속로, 파괴, 위조, 양분흡수 저해 (증산억제-X)
요수량이 가장 적은 작물 -> 벼(밀, 옥수수, 콩 등)
두류중 침수에 가장 강한 것 -> 땅콩(대두, 온두, 강낭콩 중)
내건성이 강한 작물의 형태적 특성
-> 뿌리가 깊게 뻗는다, 기공의 크기가 작고 수가 적다, 표면적/체적의 비율이 작다
(잎의 해면조직이 잘 발달되어 있다 -아님) - 모름
벼 -> 질인칼갈 -> 5:2:4
내습성이 강한 작물의 일반적 특성
-> 뿌리조직의 목화가 잘 되어 있다.
(뿌리의 피층세포가 사열로 배열되어 있다, 뿌리의 분포가 심근성이다.
뿌리의 발달이 직근계를 형성한다.)
토양보호 방법
-> 등고선 재배, 합리적 작부체계, 초지 조성 (수직선 재배 -X)
벼에 있어서 냉해에 강한 형태 -> 찰벼, 수중형
윤작의 효과와 관계
-> 지력의 유지증강, 병충해 및 잡초의 경감, 작물의 수량증가(휴한농법의 효과-X)
벼의 수광태세를 좋게 하는 것-> 규산, 칼륨을 넉넉히 준다.
자식성 작물의 기본잡단에서 계체선발을 하여 우수한 계통을 가려내는 육종법
-> 순계분리법
풍종 육성과정에서 반수체 식물을 얻을 수 있는 배양방법
-> 화분배양
내건성이 강한 작물이 갖는 일반적 특성
-> 세포막의 수분 투과성이 크다.
(세포의 크기가 크다, 세포의 삼투압이 낮다, 탈수될 때 원형질의 응집이 잘된다 -X)
가산적 변이
-> 입수(키, 입중, 수량 중)
정아우세를 억제하고 측아의 생장을 촉진하는 식물호르몬
-> 사이토키닌
과수재배에서 기본적인 정지법 중 그림과 같이 주간을 일찍 자르고
3-4본의 주치를 발달시켜 술잔모양으로 하는 정지법-> 개심법
경실에 대한 설명
- 종피의 불투성 때문에 장시간 휴면하는 종자이다.
- 콩과의 소립종자에서 흔히 볼 수 있다.
- 미숙한 종자보다 성숙한 종자에서 경실이 많다.
(수확 후 일수가 경과할 수록 경실이 많아 진다-X)
작물의 내적 균형의 지표로 흔히 사용하는 것 ->G-D균형
작물에서 화성을 유도하는데 필요한 중요 요인
- 체내 동화생산물의 양적 균형
- 온도조건
- 일장조건
(체내의 사이토키닌과 ABA의 균형 -X)
산성토양에 가장 약한 작물의 조합
-> 시금치, 알팔파, 콩, 사탕무우
논토양의 탈질현상을 방제하기 위하여 암모니아태 질소비료를 주는 가장 적합한 때
-> 정지하기 전
pH 4.0-8.0인 토양에서 가장 잘 생육할 수 있는 작물
-> 호밀
내병성 품종의 형태적 특성
- 줄기가 굴고 단단하다
(장간종이며 다비조건에서 줄기의 신장이 크다,
잎이 늘어지는 현상이 크다, 줄기의 탄력성이 약하다-X)
조파조식으로 영양생장기간을 연장하여 증수하고자 할 때 알맞은 기상생태형
-> bLt형
포기전체가 넘어지는 도복-> 뿌리도복
식품을 저장할 때 살균, 살충효과의 목적으로 흔히 사용하는 방사선 동위원소
-> 60Co
열해의 원인
- 증산과다, 철분의 침전, 암모니아 축적(유기물의 과잉집적-X)
작물의 동상해대책
- 배수를 하여 생육을 건실하게 한다
- 칼리 비료 시용량을 높인다
- 퇴비 시용량을 높힌다
(뿌림골을 얕게 한다-X)
엽면시비의 잇점
- 미량 요소의 공급, 급속한 영양 회복, 비료분의 유실 방지
(개화촉진-X)
여교잡이 성공적으로 될 수 있는 경우
-> 우량반복친에 간단한 형질을 옮길 경우
벼의 수해에 관한 설명
- 수온이 높으면 침수 피해가 크다
- 수잉기부터 출수개화기 사이에는 침수에 극히 약하다
- 침수로 표토가 씻겨내렸을 때에는 새 뿌리의 발생 후에 추비를 준다
(분얼초기에는 침수에 약하다-X)
맥류의 내동성과 연관된 형태적 특성
- 포복성인 것이 내동성이 강하다
- 엽색이 짙은 것이 내동성이 강하다
- 생장점이 낮게 위치한 것이 내동성이 강하다
(중경(중배축)이 신장되는 것이 내동성이 강하다-X)
체내에서 엽록소의 직접적인 구성재료로 이용되는 것
-> 엽록소의 직접적 구성 재료로 이용되는 성분은 Mg와 Fe 임
호광성작물 -> 담배, 상치, 우엉
작물이 생육에 있어서 키가 커지는 것은 신장 이라고 하고
여러 가지 기관이 양적으로 증대하는 것을 생장 이라고 하여 발육 과 구분하고 있음
벼나 보리의 채종 재배시 이형주를 도태시키는데 가장 적당한 시기
-> 출수개화기
혼파의 가장 큰 효율적 잇점 -> 비료성분의 효율적 이용
내냉성 설명
-> 하작물에서 내냉성이 문제가 된다.
화본과 목초의 발아촉진제로 사용하는 것
-> 질산염
재배식물이 그 선조인 야생식물에 비해 환경적응성이 약하다고 하는데
그 원인으로 가장 적당한 것
-> 환경적응성 관련 유전자의 소실
인공적으로 영양번식을 하는데 있어 발근 및 활착을 촉진하는 처리가 있는데 그 방법
-> 황화, 환상박피, 생장호르몬처림
(B-9처리-X)
증발억제제 -> OED 유액
엽록소 형성에 가장 효과적인 광
-> 청색광(430-490nm)
도복저항성에 관한 설명
-> 일반적으로 단간종, 수수형 품종은 도복저항성이 높다.
작물이 자연 분화과정에 속하지 않는 것
-> 환경적 변이
고구마를 저장할 때 가장 좋은 방법-> 굴저장
토양반응
- 강산성 토양에서는 수소이온이 작물의 양분 흡수를 저해한다
(강알칼리성이 되면 토양을 입단으로 만든다, 대개의 토양미생물은 알칼리토양을 좋아한다
강산성 토양에서는 P, Ca, Mg, B 등의 가급도가 증가된다-X )
묘대일수 감응도가 낮으면서 만식 적응성이 큰 기상 생태형
-> bLt 형
단명종자 -> 메밀, 고추, 양파, 토당귀
과수재배에서 환상박피를 이용한 개화의 촉진은 화성유인의 어떤 요인을
이용한 것 -> C-N율
토양침식작물 -> 수식성작물
풍해의 기계적 장해
-> 벼에서 수분 및 수정이 저해되어 불임립이 발생
(호흡이 증대되어 체내의 양분 소모가 증대된다, 증산이 커져서 식물이 건조한다,
기공이 닫혀 광합성이 감소한다 - X)
영양번식의 휘묻이에 해당하는 것
- 선취법, 파상취법, 당목취법(양취법-X)
체내함량이 높을수록 이동서잉 저하되는 성분
-> 유리(자유)수
대기 물질 중 빗물의 pH를 낮추지 않는 것 -> HF
접목의 잇점
- 품질을 향상시킨다, 수세를 조절한다, 병충해 저항성을 증대시킨다
(품종 개량에 이용한다-X)
맥류의 내동성과 정의 상관을 보이는 특성 -> 내건성
벼의 장해형 냉해가 가장 심한 생육 시기 -> 수잉기
무기영양설 - Liebig
병원균설 - Pasteur
부식설 - Thaer
돌연변이설 - De veri-
C3작물에 대한 C4 작물의 설명
- 광 포화점이 높다, 광 보상점이 낮다, 광합성 효율이 높다
(광 호흡률이 높다-X)
작물생장속도(CGR)를 결정해 주는 요인
-> 엽면적지수 * 순동화율
정지작업
-> 작휴, 쇄토, 진압(복토-X)
C-N율과 작물의 생육, 화성, 결실과의 관계
- 작물의 양분이 풍부해도 탄수화물의 공급이 불충분할 경우
생장이 미약하고 화성 및 결실도 불량하다
- 탄수화물의 공급이 풍부하고 무기양분 중 특히 질소의 공급이 풍부하면
생육이 황성 할 뿐만 아니라 화성 및 결실도 양호하다
- 탄수화물, 질소의 공급이 더욱 감소 될 경우 생육 감퇴 및 화아형성도 불량해진다
(탄수화물의 공급이 풍부하고 무기양분 중 특히 질소의 공급이 풍부하면 생육이 황성 할 뿐만 아니라 화성 및 결실도 양호하다 -X)
현재 전 세계적으로 재배면적이 가장 많은 식량작물 -> 밀
고구마가 가장 많이 흡수하는 비료 성분 -> 칼륨
생존연한에 따른 분류 상 이년생자굴에 해당
-> 사탕무우
농업상 이용되고 있는 방사선동위원소 -> 14C, 32P, 60Co
토마토, 당근, 고추, 민들레 -> 중성식물
식물의 개화, 결실에 영행을 미치는 요인
- 식물 호르몬, 일장효과, 버어널리제이션(T/R율 -X)
피자식물에서 중복수정을 끝낸 후의 염색체 수
-> 씨눈 2n + 씨젖 3n
벼 재배에서 정방형식으로 이앙할 때 생육상 가장 유리
-> 초기생육의 조장
연작 장해가 가장 심한 섬유작물 -> 아마
(대매, 청마, 저마 중)
식물체의 안토시아닌의 생성을 촉진 하는 빛 -> 녹색광
작물의 내적 균형을 표현하는 지표 -> C/N율, G-D율, L/W율 (T/R율 -X)
북반구에서 대기권 태양광선의 약 몇 %가 지표면에 도달
-> 47%
대목이 포장에 있는 채로 접목하는 방법 -> 거접
병해저항성 중 포장저항성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 -> 수평저항성
내염성이 강한 작물
보리, 양배추, 목화(감자-X)
방사선 동위 원소 중 인위적 돌연변이 효과가 가장 큰 것
-> B선
습해
-> 산화성 유해물질이 많이 발생한다.
(양분의 흡수가 너무 많아진다, 수분 흡수가 과다하게 일어난다, 환원성 철(Fe2+) 및
망간(Mo2+)의 생성이 많아진다)
SMS
-> 토양의 수분 보류력 및 삼투압을 합친 것
내도복성 관련
-> 키, 초형, 내비성 (내냉성-X)
옥수수의 버어널리제이션에 필요한 종자의 흡수량으로 가장 적당한 것 -> 30%
영년생(다년생)작물 -> 호프(상추, 메밀, 시금치-X)
유연관계를 구명하는 방법
- 염색체에 의한 방법, 교잡에 의한 방법, 전기영동법에 의한 방법
(후대검정에 의한 방법-X)
밭에 중경은 때에 따라 작물에 피해를 준다
- 중경은 뿌리의 일부를 단근시킨다
- 중경은 표토의 일부를 풍식시킨다
- 토양온열을 지표까지 상승을 억제, 동해를 조장한다
(중경은 토양수분의 증발을 증가시킨다-X)
제방의 누수장소를 찾기 위하여 흔히 사용하는 방사선 동위원소
-> 24Na
냉해 대책에 대한 기술
- 저항성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
- 등숙기 냉해는 출수기와 관계가 크다
- 수온을 높인다
(질소 시용량과는 관계가 적다-X)
좌지현상 을 볼 수 있는 경우
-> 가을보리를 봄에 파종
합성품종
-> 우수한 합성품종은 5-8개의 우량한 자식계를 조합한다
-> 다계교잡의 후대를 품종으로 이용한다
-> 세대가 진전됨에 따라 생산력이 저하한다
(단교잡 품종을 많이 이용한다-X)
노후화답의 재배대책으로 가장 효과
-> 조기재배, 추비중점시비, 엽면시비
(황산근비료의 시비-X)
[논의 용수량 = 엽면증산량 + 수면증발량 + 지하침투량 -(유효우량)]
토양산성화 원인 중 미포화 교질과 관걔
-> H+가 흡착된 것
자가 불화합성 -> 배추(벼, 밀, 감자 중)
식물의 굴광현상에 가장 유효한 광파장 -> 450nm
병충해 방제에 있어 경종적 방제법
- 품종의 선택, 윤작, 생육기의 조절
(나방 등의 유살-X)
윤작을 하면 어떤 병을 방제-> 토양전염성 병
벼재배에서 이삭거름의 사용적기 -> 유수형성기
감자의 괴경 수를 늘리는데 기여하는 비료 -> 인산(P)
종자의 수집과 재배식물의 발상지를 알아내는 연구에 몰두하여
재배식물의 기원지에 관한 학설을 제시한 사람 -> Vavilov(바빌로브)
벼의 생육시기에 따른 기온과 수온의 영향을 옳게 나타낸 것
-> 생육 초기에는 수온, 생육후기에는 수온과 기온,
생육 후기에는 기온의 영향이 크다
벼의 일생 중 어느 시기에 출현한 것이 가장 유효분얼이 되기 쉬운 것인가
-> 이앙 후 분얼조기에 출현한 것
주요작물별 표준 시비량을 볼 때 10a당 시비량이 가장 많은 경우
-> 종실용 옥수수 재배
곡실용 옥수수로서 요구되는 품질조건
-> 단백질과 lysine 함량이 높은 것
현재 재배되는 벼의 염색체 수(2n) -> 24
작물별 이용부위의 주요 성분 중 탄수화물 함량 순위가 옳은 것
-> 보리> 옥수수> 고구마> 콩> 감자
엽면적지수(LAI)가 8이라고 하는 것
-> 개체군(군락)의 엽신의 면적이 그것이 심어진 포장면적의 8배
황백화 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 것만으로 조합
-> N, Mg, Fe, S, Cu
T/R율
-> T/R율에 대한 설명
- 티알률의 변동은 생육상태의 변동을 표시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 티알률을 조사하면 작물생육의 유리 또는 불리한 조건을 고찰할 수 있다.
- 생장량의 조사는 생체 또는 건물의 중량으로 표시한다
(티알률은 절대 수량의 감소 및 증가와는 상관관계가 없다- X)
나무딸기에서 주로 이용 되는 취목법 -> 선취법
계통육종법과 집단육종법
- 계통육종법은 교잡 후 F2세대부터 개체선발과 계통재배를 한다
- 집단육종법은 F5-F6세대까지는 집단 선발을 계속한다
- 약배양 기술은 세대단축의 효율적인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
(수량과 같은 양적형질은 초기세대에 선발하는 것이 알맞다)
차광에 의하여 벼의 1 이삭의 영화수가 가장 크게 감소되는 생육시기
-> 감수분열기
침수에 의한 청고현상을 유발할 수 있는 조건
-> 고수온 - 정체수 - 탁수
고추의 일장감응형 -> II형
작물에는 일반적으로 한 형질과 다른형질간에 상호 연관성
-> 내비성-내병성-내도복성
식물호르몬중에서 가장 일찍 분리, 동정된 것 -> Auxin
계통육종법에서 개체선발은 보통 몇세대까지 수행
-> F5-6 세대
작물의 동상해 대책
- 배수를 하여 생육을 건실하게 한다
- 칼리 비료 시용량을 높힌다
- 퇴비 시용량을 높힌다
(뿌림골을 얕게 한다-X)
양지식물
-> 보상점이 높고 광을 많이 받아야 하는 식물
지온상승에 가장 효과가 큰 광 파장 -> 770nm
종자의 수명이 가장 짧은 종자 -> 메밀
(배추, 토마토, 벼 중)
혼작으로 이용되는 작물
- 콩 + 수수, 옥수수
- 콩 + 들깨
- 목화 + 참깨, 들깨
(보리+콩-X)
교호작 대표적 작물 - 옥수수, 콩
우리나라 윤작이 발달되지 못하는 이유
- 농민의 인식부족, 경짐녀적의 협소, 연구기관이나 행정기관의 연구지도 부진
(윤자그이 필요성이 적다 -X)
답전윤환 이점이 아닌 것
- 지력유지증진, 기지회피, 잡초발생경감(토지이용제고-X)
자식성 작물의 기본집단에서 개체선발을 하여 우수한 계통을 가려내는 육종법
-> 순계분리법
감수분열 과정에서 염색체 교차에 의한 유전자재조합이 일어나는 시기
-> 복사기
단일성 식물 -> 코스모스, 나팔꽃
내건성이 강한 작물이 갖는 일반적 특성
-> 세포박의 수분투과성이 크다
(세포의 크기가 크다, 삼투압이 낮다, 탈수될 때 원형질의 응집이 잘 된다 -X)
작물이 생육 최적 온도 이상에서 오래 유지될 � 나타나는 현상
- 체내에 암모니아의 축적이 많아진다.
- 엽록체의 전분이 점되화 되어 기능이 상실된다
- 호흡량이 증대하여 당의 함량이 줄어든다
(원형질막이 점괴화 되어 기능이 상실된다 -X)
벼 종자의 온탕 처리로서 방제할 수 있는 병 -> 선충심고병
맥류의 춘화처리
-> 최아종자�와 녹체기 모두 춘화처리 효과가 있다
질산태질소(No3--N)에 대한 설명
-> 논에서는 탈질작용으로 유실이 심하다
(밭작물의 추비로서는 적합하지 않다, 논에서 환원층에 주면 비효가 오래 지속된다
심층시비 효과가 큰 질소비료 형태이다 -X)
웅성의 n식물체가 나타나는 이형유성생식
-> 무핵란생식
식물 세포의 크기를 증대시키는데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 -> 팽압
식물의 영양생리의 연구에 사용되는 방사성 동위원소
-> 32p
물빠짐이 가장 나쁜 것 -> 판상구조
아연이 결핍된 토양에서 해작용이 큰 비료
-> 석회
식물의 에너지대사와 밀접한 관련 -> P
엽록소분자의 필요한 역할, 결핍시 엽록소가 형성안되고 황백화
-> Mg
지하수 오염유발 질소화합물 형태 ->NO3-
작물의 영양생리상 잎의 황화현상과 직접 관련이 없는 무기성분
-> P
작물 생육상 필수원소
-> Zn, B, Cl, Cu (Na-X)
작물의 양분 중 엽록소의 형성과 호흡요소의 구성요소 -> Fe
작물의 영양생리시험중 가장 정말한 시험방법 -> 수경재배
식물의 공중에서만 흡수하여 식물체를 형성하는 원소 -> 탄소
일사량이 부족한 환경에서 작물생육에 가장 중요한 성분 -> 칼륨
벼 생육시 기온이 내려가면 가장 예민하게 흡수 저하
-> P2O5
품종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조건
-> 유전성
내비성이 가장 큰 작물
-> 옥수수(벼, 콩, 감자 중)
생식기관의 성적 결함에 의한 불임
-> Indica X Japonica의 F1에서 나타나는 불임
자연교자율이 가장 낮은 것 -> 보리
(밀, 콩, 벼 중)
타가수정작물 -> 호밀(콩, 보리, 밀 중)
중복수정으로 종자를 형성하는 것 -> 벼(호박, 고추, 콩 중)
풍해의 기계적 장해에 해당하는 것
-> 벼에서 수분 및 수정이 저해되어 불임립이 발생한다
식품을 저장할 때 살균, 살충효과의 목적으로 흔히 사용하는 방사선 동위원소
-> 60Co
논 토양교질의 개념과 작용이 올바르게 설명된 것
-> 토양에 CEC가 적어지면 양분의 흡착력은 커진다.
내습성이 강한 작물의 특징
- 황화수소 등 환원성 유해물질에 대한 저항성이 큰 것이 내습성이 강하다
- 근계가 얕게 발달하거나 부정근의 발생력이 큰 것이 내습성을 강하게 한다
- 채소류에서는 양상추, 양배추, 토마토, 가지, 오이 등이 내습성이 강하다
(과수류에서는 복숭아, 무화과, 밤 등이 내습성이 강하다 -X)
수분포텐셜
- 용질의 농도가 높으면 수분포텐셜이 감소한다
- 온도가 높아지면 수분포텐셜이 증대한다
- 수분포텐셜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물이 이동한다
(압력이 높아지면 수분포텐셜이 감소한다 -X)
체내함량이 높을 수록 이동성이 저하되는 성분 -> 유리(자유)수
생물공학적 기법에 의해 반수체식물이 얻어지는 것 -> 약배양
토성의 특징
-> 부식토는 세토가 부족하고, 산성을 나타낸다
'공부 학문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와 바람에 관한 속담 (0) | 2010.07.19 |
---|---|
[스크랩] 맞춤법 총정리 (0) | 2010.05.17 |
[스크랩] 한국사 요약 (0) | 2010.05.02 |
[스크랩] 한반도 약사 년표 (BC70만년전~1998년까지) (0) | 2010.04.19 |
현행 한글 맞춤법 (0) | 2010.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