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동 철학

논리적으로 말하는 방법

연꽃나라 2012. 6. 11. 22:48

논리적으로 말하는 방법은 대표적으로
3단계 구성법
4단계 구성법
5단계 구성법이 있습니다.

3단계법은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긴 하지만 너무 포괄적이고 추상적인 면이 많기 때문에 오랜 시간의 강의일때에는 엉성한 구성이 되기 쉽습니다.
대신 짧은 시간에 응용할 때는 스피치에 적당한 논리전개 방식이라 할 수 있죠.

그럼 오늘은 3단계 구성방식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서론........어떻게 열것인가!

서론은 청중의 주의를 집중시킬수 있는 즉, 동기부여가 될 만한 것들을 끄집어와야 합니다.

청중들은 아무 이유없이 강사에게 시간을 내주는 것이 아니라 무언가 도움이 되는 것들을 가져가기 위해서 앉아 있기 때문에 강사는 절대로 이것을 잊으면 안됩니다.

그렇다면 강사는 청중들이 관심을 갖도록 만들어 주는 것도 잊지 마셔야 합니다.

그 청중들의 수준과 모여있는 이유를 생각해보고 그 사람들이 가장 원하는 것을 파악해서 질문을 던져주십시요

요점만 말씀드린다면 서론부분에서 할 일은
강사의소개,
강의의 목적과 필요성 또는 중요성 이야기하기,
본론에서 다루어질 내용전개의 암시

주의집중단계, 동기부여단계, 강의개요 단계가 전체 강의시간에 서론의 비율이 15%를 차지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본론 ....... 어떻게 만들것인가!

이제 청중의 주의를 끌었다면 이제 그 해결점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주어야 합니다.
서론 부분에서 문제만 던져놓고 답을 알려주지 않으면 좀.. 답답한 강의가 되겠죠

좀더 구체적으로 논리전개를 하고 싶다면 이점만 유의하시면 됩니다.

. 잘 아는 내용에서 잘 모르는 내용의 순으로 전개한다.
. 구체적인 것에서 추상적인 것으로 전개한다.
. 과거의 사례로부터 미래의 것으로 전개한다.
. 주위의 사례부터 멀리 떨어진 곳의 사례로 전개한다.
.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 전개한다.
. 청중의 수준에 맞춰 흥미있게 전개한다.

본론의 시간 배분은 전체 내용의 75% 정도입니다.



결론----어떻게 끝 마칠것인가

강의의 전체내용 중 중점을 요약, 재인식시켜 강의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럼으로써 청중들에게 행동화로 발전시킬 수 있게끔
열정을 다해 큰 목소리로
설득한다는 자세로
청중들이 행동화로 옮길 수 있도록
결언으로 끝맺는 것이 좋습니다.

종결단계의 시간배분은 10~15%정도가 되도록 하시면 됩니다.

그럼 언제나 한마음에 관심을 가져주시는 분들
이번주도 편안한 한주 되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