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Re: 답글
복습을 하다보니 다 배우었지만 전에 모르던 부분은 전반적인걸 배우다 보니 이제 알겠고
그럼에두 불구하고 아직 의문점이 남는것은 여전히 남아있길래 여기에 선생님께 질문을 올립니다.
답변 해주세요.
앞으로 꾸준히 올릴께요.
스파르타.
일치 부분에 1)whinin the alamo was one hundred and eigthy men, more than two thirds of whom had migrated from near from near-by states.
이때 잘못된 부분은 was 아니라 were 이라고 나와있습니다. 저는 이 부분은 수긍이 갑니다.
그런데 선생님이 문제는 꼼꼼히 풀어야 한다구 해서요. of 옆에 who아닌가 하고 의심이 들더군요. 물론 전치사 뒤라 목적격이라서 whom 이라 볼수도 있겠지만 뒤에 had 를 보면 who 아닌가 해서입니다 .
왜냐하면 전에 선생님께서 접속사 설명시2) he gave money to whoever wanted to have it. 이때는 주격입니다. to 란 전치사 뒤에 있는데 말이지요. 그래서 저는 1) 위에 문제에서 whom 이 어떤걸 선행사로 받는지 알았으면 합니다. 1) 2) 의 차이점을 좀 알려주세요. 간혹가다 어쩔땐 맞구 틀려서요.
<답글>
two thirds of whom had migrated 에서 선행사는 앞에 있는 복수의 사람 'eighty men' 입니다. 따라서 two thirds of whom 은 '그 팔십 명의 사람 중 3 분의 2'라는 뜻이 되고, 이 부분 two thirds of whom 전체가 had migrated 의 주어가 됩니다... 이 경우 엄밀히 말해서 주어는 한정을 받고 있는 two thirds가 된다는 거지요.. 그러니까 whom은 전치사 of 때문에 목적격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 주격 who 가 아니라 전치사의 목적어가 필요한 자리에 목적격 whom 이 되어야 합니다..
뒤의 두 번째 문장에서 wanted 의 주어가 될 수 있는 놈은 whoever 밖에 없죠? 앞의 전치사 to 의 목적어는 whoever wanted to have it 절 전체가 됩니다.. 이 경우 전치사 to 는 앞에 있는 동사 gave 때문에 들어온 것이지 whoever 하나에만 걸리는 전치사가 아닙니다..
쉽게 정리하자면 <명사 + 전치사 + 관계대명사> 구조에서(예를 들어, the half of whom) the half 가 주어가 되면 목적격이 되어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주격이 된다고 생각해도 됩니다...
more과 ㅡmuch 에 쓰임에 대해서요. 참으로 죄송한데 선생님은 잘 가르켜주셨는데 저는 잘 헷갈립니다. 예를 들께요. 음 more wilder than 일때 이때는 much wilder than 이라고 해야 맞다구 합니다.
물론 much 가 비교급 최상급 수식이라 그렇겠지요. 그런데 그 다음 문제엔 more than two thirds of 이라 나오니 차이가 죄송한데 잘 모르겠어요.
more necessary 란 예문이 잇습니다. 이때 more 대신 better 하면 틀리지요.헌데 똑같이 비교급이잖아요. 어떤건 more much 가 나와 있는게 헷갈립니다. 어떤건 much 어떤건 more 보면 할수록 헷갈려서요. 맨투맨을 보아도 답답하구 어떤 기준을 사실 못세우겠습니다.
<답글>
우선 more 는 두 가지 상황이 있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첫째로, many 또는 much 의 비교급으로 쓰이는 상황입니다.. 이 경우 그 뜻은 당연히 '더 많은, 더 많이'라는 뜻이 되고, 따라서 다음에는 대체로 명사 정도가 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He has more money than I. 의 경우 ' 더 많은 돈'이란 뜻으로 쓰인 거지요..
둘째로, 3음절 이상의 단어를 비교급을 만들어 주기 위하여 쓰인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He is more diligent than I. 의 경우는 , diligent라는 형용사의 비교급을 만들기 위해서 쓴 경우이지, '많은'이란 뜻은 전혀 없습니다.
이 경우 당연히 better 라는 놈은 쓰지 않습니다..
better 는 형용사 또는 부사 'good 또는 well'의 비교급이지 비교급을 만들어 주는 자리에 쓰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He swims better than I. (그는 나보다 수영을 더 잘 한다.) 라는 식으로 사용을 하는 겁니다.
more than two thirds .. 의 문장에서는 '3분의 2보다 더 많이' 라는 뜻으로 쓰인 겁니다..
more necessary에서는 비교급을 만들어 주기 위해서 쓴 경우이구요..
끝으로 more 일땐 3음절 이라던데 a,e,i,o,u 로 구분하기엔 종말 잘 안되더라구요. 다른데에서두 답변 올려두 그쪽두 잘 모른다구 해서요.
어떤건 much 다음 비교급 이고 해서요. 부탁드릴께요. 정말 머리가 아프더라구요.
<답글>
3 음절 이상의 단어의 비교급을 만들 땐, 단어 끝에 원칙처럼 -er을 (longer 처럼) 붙이는 것이 아니라 단어 앞에 more 를 붙이게 되어 있습니다. (more necessary 처럼)..
그런데, 3 음절 이상이란 것은 '철자'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구요, 발음을 기준으로 하는 겁니다.. 따라서 diligent 는 '딜리전ㅌ'라는 식으로 발음이 되기 때문에 당연히 3음절 이구요, generous 는 모음이 네 개가 보이지만 발음은 '제너러ㅅ'라는 식으로 세 번의 모음만 나게 되어 있기 때문에 3음절 단어 이구요.. noisy 라는 단어는 '노이지'라고 세 번 발음이 있는 것 같지만 새로운 자음이 나오기 전 '노이'라는 부분은 한 음절로 간주를 하기 때문에 2 음절 단어가 됩니다..
쉽게 이해하자면 '자음과 자음' 사이에 일어나는 모음은 원칙적으로 하나의 모음으로 간주를 하면 됩니다.. beautiful 도 모음은 네개가 있지만 자음과 자음 사이에는 세 번의 모음의 발음이 있기 때문에 3음절이 됩니다..
선생님 지금두 강의하신다구 바쁘시지요. 힘내시구요.
꼭 친절한 답변 부탁드릴께요.
즐거운 추석 보내시고, 그래도 풀리지 않은 내용은 질문 올려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