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 실용

♦ 출생시각을 모르는 경우 ♦

연꽃나라 2010. 10. 23. 01:44

♦ 출생시각을 모르는 경우 ♦

사주감정을 하다 보면 종종 자신의 출생시각을 모르시는 분들을 뵙게 됩니다. 이런 경우, 결론부터 말씀 드리자면 정확한
사주감정은 불가능하다고 말씀 드릴 수 있습니다. 출생시간은 모른 채 출생 연, 월, 일로만 감정하게 되면 그 정확도는
50% 이하로 떨어지게 되고, 뿐만 아니라 정확하지 않은 시간을 대충 끼워 맞춰 감정한다면 그것은 자신의 사주가 아닌
다른 사람의 사주를 보는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입니다.

사주는 띠가 무슨 띠네, 일주(日柱)가 어떻네 하는 단편적인 사항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사주 여덟자를 놓고 입체적
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여덟자 중 단 한 자만 빠지거나 틀려도 정확한 판단은 불가능합니다. 마치 내장기관이건
손가락, 발가락이건 인체의 어느 한 부분이라도 온전치 못하다면 건강체가 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때로는 출생시간을 아주 모르는 건 아니지만 애매한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여름에 개 밥 주는 시간'과 같은 경우
입니다. 이런 경우 대개 묘시나 진시가 되는데, 이럴 때 판단하는 방법은 전통적으로 머리 가마의 위치로 판단하는 방법이
일반적이고 적중률도 높습니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부족한 감이 없지 않으므로 문점자의 얼굴과 신체형태, 체질,
그리고 성격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한다면 보다 정확하게 출생시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생시를 전혀 모르거나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분들은 사주로 운명감정 하는 곳을 찾으실 때 신중하셔야 합니다.
긴장하거나 마음이 들떠 역술인의 현란한 말솜씨에 현혹되어 정작 가장 중요한 부분을 간과하게 된다면, 돈만 버리는
것은 차치하고라도 오히려 그 곳을 찾지 않으니만 못한 마음의 부담만 지고 돌아올 것이기 때문입니다.

출생시를 모른다고 하면 연월일만 가지고 봐도 된다고 적당히 넘어가는지 아니면 출생시를 모르면 감정은 불가능하다고
정중히 감정을 사양하는지, 출생시가 애매할 때 위에서 말씀드린 것과 비슷한 방법으로 다각적으로 정확한 출생시를
유추해 내는지를 침착하게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한편 출생시를 모르는 경우(때로는 전혀 출생 연월일시를 모를 때), 그래도 꼭 자신의 운명을 감정 받고 싶을 때 활용할 수
있는 감정법으로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네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지금부터 말씀드리는 순서는 제가 맨 처음 언급한 것
이라도 사실 나머지와 비교해 어느 것이 더 우위에 있다고 단정할 수는 없는 것이고, 단지 그 감정법의 신뢰도와 더불어
일반인들이 가장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용이성을 고려하여 제 개인적으로 정한 것에 불과합니다.

첫째는 관상입니다. 자평학(子平學:사주) 보다도 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주역과 더불어 가장 오랜 역사를 갖고
있으며, 그 동안 수 많은 학자들이 연구해 온 학문으로 신뢰도가 높고 우리나라에도 연구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시므로
어렵지 않게 좋은 관상가를 만나 자신의 운명을 감정해 볼 수 있습니다.

둘째는 주역입니다. 주역점(周易占)에는 각 효(爻)에 육친(六親)과 육수(六獸)를 배치해 점단하는 단역(斷易:육효점)과 역의
괘상(卦像)만으로 점단하는 역상점(易像占)이 있는데 그 적중률은 우열을 가릴 수 없고, 다만 우리나라에는 역상점 보다
단역을 공부하시는 분들이 더 많습니다. 문제는 주역을 전문으로 활단하시는 분들을 관상보다는 찾기 어렵고, 주역점은
문점자와 활단자와의 정신적 감응, 즉 텔레파시가 점단에 상당 부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믿을 만한 역학자를 찾는 것이
제일 요건이라 할 수 있습니다.

셋째는 무속인입니다. 무속인들은 대부분의 경우 문점자의 생년월일시에 구애 받지 않고 자유롭게 길흉화복을 예지해 낼
수 있습니다. 무속인들은 입신(入神)상태에 드는 과정과 이를 표출하는 과정에서 일어나서 춤을 추는 선거리 무당과
앉아서 장구등을 두드리며 입신상태에 드는 앉은거리 무당, 그리고 선거리냐 앉은거리냐에 관계없이 영(靈)과 소통하는
방법에서 영의 목소리를 듣는 라디오형, 문점자의 과거, 현재, 또는 미래가 파노라마 처럼 펼쳐지는 비디오형, 문점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그와 영적인 감응이 이루어져 심지어는 문점자가 아픈 곳이 자신에게 똑같이 느껴지는 텔레파시형,
그리고 이 세가지 모두 또는 두가지가 혼합된 형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무속인의 수가 20만에 육박하고 있으므로 주위에서 무속인을 접하기는 어려운 일이 아니나, 진정 영적
으로 맑은 사람을 만날 수 있는지가 정확한 점단의 선결요건입니다. 영태(靈胎)가 맑은 무속인이라면 세상의 그 어떤
역학자보다도 정확하게 문점자의 길흉화복을 예지해 낼 수 있지만, 그렇지 않으면 그 적중률은 별로 믿을 만한 것이
못됩니다. 더구나 요즈음은 오직 돈 만을 위해 스스로 무속인을 직업으로 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불성설 이지요.

무속인은 세습무를 제외하고는 운명적으로 신병을 앓게 되어 있습니다. 다시 말해, 되고 싶다고 무속인이 될 수 있는
것이 아니요, 되기 싫다고 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신병을 앓는 과정에서 형언할 수 없는 고력을 겪은 연후에
한 사람의 무속인이 탄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그래야� 진정한 무당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지요. 초목이 봄에
봉오리를 틔울려면 엄동설한을 묵묵히 견뎌내야 하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직 돈 만을 위해
내림굿을 받은 무속인, 그 돈이 탐나 자격이 되지 않는 사람에게 내림굿을 해 주는 신아버지, 신어머니 밑에서 수업한
무속인. 과연 신뢰할 수 있을까요.

마지막으로는 육임(六壬)입니다. 시원은 중국 황제(黃帝)때라고 하니 오천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학문으로 제갈공명,
손무(손자병법 저자), 범여(춘추시대 월왕구천의 신하로 토사구팽이라는 성어의 주인공), 소강절(송 시대의 성리학자)
등 당대의 기재(奇才)들은 모두 이 육임의 대가들이었습니다. 그러나 대중에 공개되지는 않고 비전으로만 전해지다가
청나라 이후에 그 실체가 대중에 알려지게 된 학문입니다. 정통하기만 하다면 온 몸에 소름이 돋고 머리털이 쭈뼛
곤두설 정도로 무서운 적중률을 보여주는 학문이긴 하지만, 워낙 암기해야 할 사항이 많고 그 진수를 터득하기가 어려워
연구하는 분들이 많지 않은 실정입니다. 요새 역술사이트에 자동으로 삼전사과(三傳四課)를 조식하는 육임 프로그램이
올려져 있는 것을 봤는데, 육임 역시 문점자와 활단자와의 정신감응이 중요한 점법이므로 이런 프로그램은 추천해
드리기 어렵습니다. 현재 지방에 대가 몇 분이 계시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상이 출생 연월일시를 전혀 모를 때 자신의 운명을 예지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방법들이었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그러나 세상을 살아가며 그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그 어떤 세파에도 흔들림 없이 자신의 길을 걸어
나가리라는 자신의 의지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마지막으로 역경(易經) 첫 머리에 공자(孔子)가 쓴 구절을 인용하며
마칠까 합니다.

 

 

 

 

 

◆ 자시생(子時生) 23:30 ~ 01:29

- 부모 : 부선망(父先亡)
- 용모 : 얼굴이 길다
- 잠버릇 : 반듯하거나 엎드려 잔다.
- 가마 : 오른쪽
- 울음소리 : 급하고 높고 가늘다.
- 쌍가마 : 寅, 申, 巳, 亥 月生
- 출생할 때 : 아버지가 있는 쪽으로 반듯하게 하늘을
                      쳐다 보고 출생하든지 또는 엎어져 출생
                      한다. 머리는 북쪽으로 두고 출생.

                        - 참 고 -

 시간 적용에서 조자시, 야자시를 적용하므로
 조자시와 야자시의 범위를 숙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야자시 - 23:30 ~ 00:29
               ◎조자시 - 00:30 ~ 01:29


◆ 축시생(丑時生) 01:30 ~ 03:29

- 부모 : 모선망(母先亡)
- 용모 : 얼굴 모양이 둥글고 턱이 둥글다. 얼굴이 두툼
             하고 신체 풍만하다.
- 잠버릇 : 옆으로 누워자는 습성이 있다.
- 가마 : 왼쪽에 있다.
             한개면-머리에 경사진 곳에 있고
             두개면-머리의 한복판에 나란히 있다.
             간혹 앞이마 쪽에 한 개 있고 목 뒷쪽에 한 개
             있는 사람도 있다.
- 울음소리 : 느리다.
- 쌍가마 : 子, 午, 卯, 酉 月生
- 출생할 때 : 엎드려 출산한다. 출생될 당시 아버지는
                      집에 없고 아버지가 있는 반대쪽으로
                      향하여 출생한다. 머리는 북쪽으로 두고
                      출생한다.

◆ 인시생(寅時生) 03:30 ~ 05:29

- 부모 : 부선망(父先亡)
- 용모 : 얼굴이 넓고 길며 입과 귀가 크다.
- 잠버릇 : 옆으로 누워 잔다.
- 가마 : 오른쪽
- 울음소리 : 높다
- 쌍가마 : 辰, 戌, 丑, 未 月生
- 출생할 때 : 머리를 동쪽으로 두고 출생한다.
                      아버지가 있는 방향쪽으로 향하여
                      출생한다.
                      寅日 寅時생은 겉으로 보기에 위엄이
                      있고 눈의 동공은 황색이다.

◆ 묘시생(卯時生) 05:30 ~ 07:29

- 부모 : 모선망(母先亡)
- 용모 : 얼굴 길고 좁으며 턱이 뾰족하다.
- 잠버릇 : 반듯하게 잔다.
- 가마 : 왼쪽
- 울음소리 : 급하고 가늘며 높다.
- 쌍가마 : 寅, 申, 巳, 亥 月生
- 출생할 때 : 머리를 동쪽으로 두고 출생한다.

◆ 진시생(辰時生) 07:30 ~ 09:29

- 부모 : 부선망(父先亡)
- 용모 : 얼굴이 둥글고 크고 넓으며 신체 풍만
- 잠버릇 : 옆으로 누워잔다.
- 가마 : 오른쪽
- 울음소리 : 탁하다.
- 쌍가마 : 子. 午, 卯, 酉 月生
- 출생할 때 : 머리를 동쪽으로 두고 출생

◆ 사시생(巳時生) 09:30 ~ 11:29

- 부모 : 모선망(母先亡)
- 용모 : 얼굴이 길고 키가 크다.
- 잠버릇 : 옆으로 누워 잔다.
- 가마 : 왼쪽
- 울음소리 : 높다.
- 쌍가마 : 辰, 戌, 丑, 未 月生
- 출생할 때 : 머리를 남쪽으로 두고 출생

◆ 오시생(午時生) 11:30 ~ 13:29

- 부모 : 부선망(父先亡)
- 용모 : 얼굴이 길다.
- 잠버릇 : 반듯하게 누워 잔다.
- 가마 : 오른쪽
- 울음소리 : 높고 가늘고 길다.
- 쌍가마 : 寅, 申, 巳, 亥 月生
- 출생할 때 : 머리를 남쪽으로 향한다.


◆ 미시생(未時生)13:30 ~ 15:29

- 부모 : 모선망(母先亡)
- 용모 : 얼굴이 두텁고 신체가 풍만, 얼굴이 둥글고
             넓다.
- 잠버릇 : 옆으로 누워 잔다.
- 가마 : 왼쪽
- 울음소리 : 느리다.
- 쌍가마 : 子, 午, 卯, 酉, 月生
- 출생할 때 : 아버지의 반대쪽으로 향해 출생
                      엎드려서 머리는 남쪽을 향한다.



◆ 신시생(申時生) 15:30 ~ 17:29

- 부모 : 부선망(父先亡)
- 용모 : 키가 크고 위엄이 있다.
- 잠버릇 : 옆으로 누워 잔다.
- 가마 : 오른쪽
- 울음소리 : 높다.
- 쌍가마 : 辰, 戌, 丑, 未 月生
- 출생할 때 : 아버지가 있는 방향으로 출생
                      머리를 서쪽으로 두고 출생



◆ 유시생(酉時生) 17:30 ~ 19:29

- 부모 : 모선망(母先亡)
- 용모 : 얼굴이 길고 턱이 뾰족하다.
- 잠버릇 : 반듯하게 누워잔다.
- 가마 : 왼쪽
- 울음소리 : 급하고 높다.
- 쌍가마 : 酉, 申, 巳, 亥 月生
- 출생할 때 : 아버지가 있는 방향으로 출생
                      머리를 서쪽으로 두고 출생



◆ 술시생(戌時生) 19:30 ~ 21:29

- 부모 : 부선망(父先亡)
- 용모 : 얼굴이 넓고 두터우며 신체 풍만
- 잠버릇 : 옆으로 누워잔다.
- 가마 : 오른쪽
- 울음소리 : 느리다.
- 쌍가마 : 子, 午, 卯, 酉 月生
- 출생할 때 : 얼굴을 서쪽으로 향하여 출산
                      머리를 서쪽으로 두고 출생



◆ 해시생(亥時生) 21:30 ~ 23:29

- 부모 : 모선망 (母先亡)
- 용모 : 얼굴이 길고 키가 크다.
- 잠버릇 : 옆으로 누워잔다.
- 가마 : 왼쪽
- 울음소리 :
- 쌍가마 : 辰, 戌, 丑, 未 月生
- 출생할 때 : 하늘을 바로 보고 출생, 아버지가 있는
                      쪽으로 보고 출생
                      머리는 북쪽으로 두고 출생